NSC 올림피스키 스타디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NSC 올림피스키 스타디움은 우크라이나 키이우에 위치한 다목적 경기장이다. 1923년에 처음 개장하여, FC 아르세날 키이우의 홈구장으로 사용되며, FC 디나모 키이우의 주요 경기 개최 장소로도 활용된다. 1980년 모스크바 올림픽 축구 예선 경기장으로 사용되었으며, 2008년부터 2011년까지 재건축을 거쳐 UEFA 공인 카테고리 4 인증을 획득했다. UEFA 유로 2012 결승전과 2018 UEFA 챔피언스리그 결승전을 개최했으며, 우크라이나 축구 국가대표팀의 경기가 열리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80년 하계 올림픽 경기장 - 루즈니키 스타디움
루즈니키 스타디움은 러시아 모스크바에 위치한 국립 경기장으로, 과거 레닌 중앙 경기장으로 불렸으며 올림픽, UEFA컵, 챔피언스리그 결승전, FIFA 월드컵 등 주요 스포츠 행사를 개최한 곳이다. - 키이우의 스포츠 - UEFA 유로 2012 결승전
UEFA 유로 2012 결승전은 2012년 7월 1일 키예프에서 열려 스페인이 이탈리아를 4-0으로 꺾고 우승하며 메이저 대회 3연패를 달성했고, 안드레스 이니에스타가 경기 MVP로 선정되었다. - 키이우의 스포츠 - 발레리 로바노우스키 디나모 경기장
발레리 로바노우스키 디나모 경기장은 우크라이나 키이우에 위치한 축구 경기장으로, 1934년 건설되어 2002년 발레리 로바노우스키 감독의 업적을 기려 개명되었으며, 유로마이단 혁명 시위 장소이자 2018년 UEFA 여자 챔피언스 리그 결승전 개최를 위해 개보수되었고, 주변에는 기념비들이 세워져 있다.
NSC 올림피스키 스타디움 - [경기장/극장]에 관한 문서 | |
---|---|
경기장 정보 | |
경기장 명칭 | 올림피스키 국립 스포츠 단지 |
애칭 | 올림피스키 () |
위치 | 키이우 |
개장 | 1923년 |
보수 | 1941년, 1999년, 2011년 |
확장 | 1966년, 1978년 |
소유주 | 우크라이나 청소년체육부 |
그라운드 | 천연 잔디 |
피치 크기 | 105 x 68 m |
이전 명칭 | 레드 스타디움 (개장 시-1935년), 코시오르 레스푸블리칸스키 스타디움 (1936년-1938년), 레스푸블리칸스키 스타디움 (1938년-1941년), 흐루쇼프 레스푸블리칸스키 스타디움 (1941년-1962년), 키예프 센트럴 스타디움 (1963년-1978년), 레스푸블리칸스키 스타디움 (1978년-1996년), NSC 올림피스키 (1996년-현재) |
사용 팀 및 대회 | 우크라이나 축구 국가대표팀, UEFA 유로 2012, FC 디나모 키이우, 1980년 모스크바 올림픽 |
수용 능력 | 50,000 (1941년), 47,756 (1949년), 100,062 (1967년), 83,450 (1999년), 70,050 (2011년) |
추가 정보 | |
건설 비용 | 5억 8,500만 유로 (2008년-2011년) |
설계 | L. V. 필빈스키 (1923년), 미하일로 흐레치나 (1936년-1941년), 게르칸, 마르크 운트 파트너 (2008년-2011년) |
2. 역사
1923년 8월 12일 개장하여 FC 아르세날 키이우의 홈구장 및 FC 디나모 키이우의 중요 경기 개최 장소로 사용되었다. 1980년 모스크바 올림픽에서는 축구 예선 경기장으로 활용되었다.[5] 2008년부터 2011년까지 전면 개축 후 빅토르 야누코비치 대통령 참석 하에 재개장했으며, 2012년 UEFA 유로 2012 결승전, 2018년 UEFA 챔피언스리그 결승전이 개최되었다.
2. 1. 초기 역사 (1923년 ~ 1980년)
1923년 8월 12일 문을 열었다. FC 아르세날 키이우의 홈 구장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FC 디나모 키이우가 중요한 국제 경기나 국내 경기를 치를 때에도 이 경기장을 사용한다.1980년 모스크바 올림픽에서는 축구 예선 경기장으로 사용되었다.
2. 2. 1980년 모스크바 올림픽
1980년 모스크바 올림픽에서는 축구 예선 경기가 이 경기장에서 열렸다.[5]2. 3. 재건축 (2008년 ~ 2011년)
2008년부터 노후화된 경기장의 전면 개축 공사에 착수하여 2011년 10월 9일, 당시 우크라이나 대통령이었던 빅토르 야누코비치의 참석하에 재개장했다.[5]3. 주요 경기 및 행사
1923년8월 12일에 개장한 이 경기장은 UEFA 공인 카테고리 4 인증을 받아 UEFA 주관 대회를 개최할 수 있다. FC 아르세날 키이우의 홈구장이며, FC 디나모 키이우의 주요 국제 경기나 국내 경기도 이곳에서 열린다. 1980년 모스크바 올림픽 축구 예선 경기장으로 사용되었다.[5]
3. 1. UEFA 유로 2012 결승전
2012년7월 1일에는 유로 2012 결승전이 열려, 스페인이 이탈리아를 4:0으로 꺾고 통산 3번째 우승을 차지했다.[5]3. 2. 2018 UEFA 챔피언스리그 결승전
현지 시간으로 2018년 5월 26일, 2017-18 시즌 UEFA 챔피언스리그 결승전이 이곳에서 열렸다. 레알 마드리드와 리버풀의 경기였는데, 레알 마드리드가 리버풀을 3대 1로 꺾으면서 3년 연속 챔피언스리그 우승을 기록하였다.[5]3. 3. 2002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NSC 올림피스키 스타디움에서 열린 2002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경기는 총 5경기이다. 우크라이나는 2000년 9월 2일 폴란드와의 첫 경기에서 1-3으로 패배했고, 이후 2001년 3월 24일 벨라루스, 2001년 6월 2일 노르웨이, 2001년 6월 6일 웨일스와의 홈 경기에서는 모두 무승부를 기록했다. 2001년 11월 10일에는 독일과의 플레이오프 경기에서 1-1로 비겼다.3. 3. 1. 경기 기록
날짜 | 팀 1 | 스코어 | 팀 2 | 라운드 |
---|---|---|---|---|
2000년 9월 2일 | Ukraine|우크라이나영어 | 1 - 3 | Poland|폴란드영어 | 5조 |
2001년 3월 24일 | Ukraine|우크라이나영어 | 0 - 0 | Belarus|벨라루스영어 | 5조 |
2001년 6월 2일 | Ukraine|우크라이나영어 | 0 - 0 | Norway|노르웨이영어 | 5조 |
2001년 6월 6일 | Ukraine|우크라이나영어 | 1 - 1 | Wales|웨일스영어 | 5조 |
2001년 11월 10일 | Ukraine|우크라이나영어 | 1 - 1 | Germany|독일영어 | 플레이오프 |
4. 교통
키이우 지하철 올림피스카 역에서 약 300m, 팔라츠 스포르투 역에서 약 400m 떨어져 있다.
5. 갤러리
참조
[1]
웹사이트
Уряд ліквідував Державний концерн "Спортивні арени України" у зв'язку з неефективним господарюванням
http://www.kmu.gov.u[...]
[2]
웹사이트
History of the stadium
http://nsc-olimpiysk[...]
[3]
웹사이트
Great history of NSC "Olimpiyskiy"
http://nsc-olimpiysk[...]
[4]
웹사이트
Official facts and figures
http://nsc-olimpiysk[...]
[5]
웹사이트
キエフのオリンピック・スタジアムがオープン
http://jp.uefa.com/u[...]
2011-12-25
[6]
웹사이트
Уряд ліквідував Державний концерн "Спортивні арени України" у зв'язку з неефективним господарюванням
http://www.kmu.gov.u[...]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